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51)
[모두를 위한 딥러닝/시즌2] Lab-01 Tensor Manipulation Lab-01 Tensor Manipulation 다음은 모두를 위한 딥러닝 시즌 2의 Lab-01-1 Tensor Manipulation 1과 Lab-01-2 Tensor Manipulation 2를 학습하고 요약정리한 내용입니다. 강의 내용을 기반으로 요약하되, 보충 설명이 필요한 경우 부스트코스와 위키독스를 참고했습니다. 학습목표 텐서 조작(Tensor Manipulation)에 대해 알아본다. 핵심키워드 텐서(Tensor), 넘파이(NumPy), 텐서 조작(Tensor Manipulation), 브로드캐스팅(Broadcasting), View, Squeeze, Unsqueeze, Type Casting, Concatenate, Stacking, In-place Operation 1. 벡터, 행렬 그..
[머신러닝 야학/2기] Tensorflow (python) 수업 정리 Tensorflow (python) 올해 1월 4일부터 15일까지 구글과 생활코딩이 함께 하는 머신러닝 야학에 참여해 텐서플로우 수업을 들었습니다. 수준에 맞게, 사용하는 언어에 맞게 여러 수업이 열린다는 점이 좋았고 텐서플로우 복습할 겸 들었던 건데 생각보다 많이 얻어간 수업이었습니다. 예를 들면 원래 activation 함수로 relu를 많이 썼는데, 이번 수업을 통해 처음으로 swish를 알게 되었습니다. 생활코딩도 이번에 처음 알게 되었는데, 이미 유명한 비영리 교육 프로젝트라고 하네요! 아무튼 머신러닝 야학에 대한 정보는 이 정도로 간단히 얘기하고 혹시 더 궁금하신 분들은 위의 머신러닝 야학 사이트나 아래 수업 링크에 자세히 나와있으니 참고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강의는 무료로 진행되고 머신러닝..
[프로그래머스/레벨1] 모의고사 풀이 과정 늘 문제 전체를 캡처하고 싶은데 문제가 너무 길어 다 캡처하기 힘들 때가 있다. 예를 들면 크레인 인형 뽑기 게임^^ 다행히 이번 문제는 문제 설명이 짧았다. 문제를 읽어보니 각 수포자가 찍는 방식에 패턴이 존재했다. 빨간색 선으로 그어놨는데, 1번 수포자의 경우 1, 2, 3, 4, 5를 반복하고, 2번 수포자의 경우 2, 1, 2, 3, 2, 4, 2, 5를 반복하고, 3번 수포자의 경우 3, 3, 1, 1, 2, 2, 4, 4, 5, 5를 반복한다. 그리고 answers는 문제의 진짜 정답이 순서대로 들은 배열이고, 가장 문제를 많이 맞힌 사람을 return해야 한다. 지금 보니 몇 번 수포자가 정답을 많이 맞혔는지 그 수포자의 번호를 return 하는 게 아니라, 번호가 담긴 배열을 r..
[프로그래머스/레벨1] 완주하지 못한 선수 풀이 과정 문제는 생각보다 쉬웠다. 특히 완주하지 못한 선수가 항상 1명이라는 점이 이 문제를 더 쉽게 만든 것 같다. 매개변수와 반환 값에 대한 설명에서 participant는 참여한 선수들을 담은 배열이고, completion은 완주한 선수들을 담은 배열이라는 것을 파악하고 간단하게 메모했다. 완주하지 못한 선수 return해야 하는 것도 메모했으면 좋을 것 같다. 지난 실수들을 생각하면서 이 문제에서 어떤 알고리즘 개념을 요구하는지 생각해보았다. 배열 요소 하나하나를 for문으로 탐색해야 한다는 점에서 탐색 알고리즘, 길 찾기 알고리즘이 생각나서 메모했다. 지금 검색해보니 탐색 알고리즘과 길 찾기 알고리즘은 완전히 다른 거고(^^) 탐색 알고리즘은 사실 처음 봤다. 학교에서 들은 수업에서는 배우지 ..
[프로그래머스/레벨1] 두 개 뽑아서 더하기 풀이 과정 이번 문제는 저번 문제(크레인 인형뽑기 게임)보다 설명이 간단했고, 난이도도 쉬웠다. '서로 다른 인덱스에 있는 두 개의 수를 뽑아 더해서 만들 수 있는 모든 수'를 보고 for문을 두번 돌아야겠다는 생각이 들어 메모했다. 그리고 예시를 보고 중복되지 않는다는 점을 발견했다. 'for문 2개'만으로는 구체적이지 않아 예를 들어 어떤 식으로 두 개의 수를 더해야 하는지 메모에 그림을 그려놨고 주의해야 할 사항(겹치면 넣지 않기, 오름차순)을 따로 메모했다. 주의해야 할 사항은 나중에 까먹을 수 있으니 ※기호로 항상 메모해야 한다! def solution(numbers): answer = [] for i in range(len(numbers)): for j in range(len(numbers))..